휴비스 ESG
지속가능 경영을 위해 ESG를 추구합니다.

ESG

ESG 데이터

ESG 데이터

A. 일반공개

A01. 조직
회사명 ㈜휴비스
대표이사 김석현
설립일 2000년 1월 1일
상장 2012년 2월 23일(코스피)
본사 소재지 서울시 강남구 학동로 343, 12층(더 피나클 강남)
사업 분야 폴리에스터 섬유, 슈퍼섬유 외
자회사 사천휴비스화섬유한공사, 휴비스글로벌
직원수 704명(2024년 기준)
매출액 9,394억원(2024년 연결 기준)
A02. ESG 평가등급
KCGS(Korea Corporate Governance Service)
평가년도 통합등급 구분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
2024 B+ B+ A B+
2023 A B+ A+ B+
2022 B+ B+ A B+
2021 A B+ A+ A
2020 B+ B+ B+ B+
2019 B B B B
2018 B+ B+ B+ B+
2017 B+ B+ A B
2016 B+ B+ B+ B
2015 B B B C
2014 C B C C
A03. ISO 업무 추진계획

ISO 14001 (2025년)

월별 업무내용
1월 2025년 환경목표, 내외부이슈, 리스크 파악 등 수립
2월 2024년 환경경영검토 보고서 작성
3월 2024년 환경경영검토 보고
4월 2025년 상반기 ISO 재인증심사 품의 및 심사 준비
5월 2025년 상반기 ISO 재인증심사
6월 상반기 재인증심사 시정조치
7월 ISO 담당자 교육 및 환경경영시스템 관리상태 점검
8월 내부심사 품의 및 심사 준비
9월 내부심사
10월 2025년 하반기 ISO 사후심사 품의 및 심사 준비
준수의무사항 평가
11월 2025년 하반기 ISO 사후심사
12월 하반기 사후심사 시정조치

B. 환경 (E)

 

※ 아래 데이터는 별도의 사업장 구분이 없을 경우, 전주공장의 목표 및 실적에 해당됨

B01. 에너지

B01_01. 사용량 목표 및 실적

구분 에너지 사용량(*TJ)
2021 2022 2023 2024
계획(①) 7,100 6,000 5,950 5,950
실적(②) 7,089 5,891 5,860 5,846
실적(*TOE환산) 169,285 140,677 139,937 139,602
차이(②-①) -11 -109 -90 -104
전년대비 감축률 1% -17% -1% -2%
  • *TJ(Tera Joule)
  • *TOE(Ton Of Oil Equivalent) : '석유 환산톤'으로 원유 1톤의 순발열량을 의미함. 1TJ = 23.88 TOE

B01_02. 에너지 집약도

구분 2022 2023 2024
에너지 사용량(TJ) 5,891 5,860 5,846
매출액(억원) 8,293 7,212 7,251
에너지 집약도(TJ/억원) 0.710 0.813 0.806
  • ※ 매출액 출처 : 휴비스 사업 보고서

B01_03. 재생에너지 사용현황

구분 2022 2023 2024
재생에너지 사용량(MWh) 176.90 623.90 1,165.38
TJ 환산(MWh=0.0036TJ) 0.637 2.246 4.195
연간 에너지 총사용량(TJ) 5,891 5,860 5,846
재생에너지 사용비율(%) 0.011 0.038 0.072
전년대비 개선률(%) 0.011 0.027 89.5
  • *재생에너지 사용량 : 전주공장 내 자체 생산 및 소비 중인 태양광발전 기준
  • *재생에너지 사용비율 : 휴비스 전체 에너지사용량(TJ)대비 재생에너지 사용량
B02. 온실가스

B02_01. 배출량 목표 및 실적 (2024년)

구분 온실가스 배출량(*tCO2 eq)
본사 전주공장 연구소 대구사무소 합계
목표 300 410,000 600 10 410,910
실적 268 397,462 536 8 398,301
  • *tCO2 eq : Ton CO2 equivalent

B02_02. 배출량

구분 온실가스 배출량(tCO2 eq)
2021 2022 2023 2024
직접배출(Scope1*) 301,924 245,342 262,834 274,598
간접배출(Scope2*) 163,927 139,435 130,304 123,704
간접배출(Scope3*) - - - -
합계 465,851 384,776 393,137 398,301
전년대비 감축률(%) 0.2% -17.4% 2.2% 1.3%
  • * Scope1 : 기업이 소유하고 통제하는 발생원에서 배출
  • * Scope2 : 기업이 구매하여 소비한 전기, 스팀 등에서 배출
  • * Scope3 : 기업의 Value Chain에서 발생되는 간접적인 온실가스(휴비스는 현재 별도의 Scope3는 미산정)

B02_03. 배출 집약도

구분 2022 2023 2024
온실가스 배출량(tCO2eq) 384,776 393,137 398,301
제품생산량(톤) 557,618 603,500 618,832
온실가스 배출 집약도(tCO2eq/톤) 0.69 0.65 0.64
B03. 폐기물

B03_01. 발생량 목표 및 실적

구분 2021 2022 2023 2024 2029
계획 실적 계획 실적 계획 실적 계획 실적 계획
제품생산량(톤) 783,279 762,473 803,296 557,618 544,318 603,500 645,613 568,427 568,427
폐기물 발생량(톤) 30,148 29,877 31,477 25,765 23,147 29,609 31,700 28,817 27,376
생산량대비 폐기물 발생률 3.8% 3.9% 3.9% 4.6% 4.6% 4.9% 4.9% 5.1% 4.8%
전년대비 원단위 감축률 5% 18% 6% 3% -5%
  • ※ 2029년 계획 : 매년 2%씩 발생량을 감소시켜 2024년 대비 10% 감축 목표 설정
  • ※ 감축방안 : 원, 부원료 Loss 감소 및 재사용, 일회용품 사용 절감

B03_02. 유형별 처리 실적

구분 2023 2024
소각 매립 기타* 재활용 합계 소각 매립 기타* 재활용 합계
지정폐기물(톤) 2,310 - 46 537 2,892 2,083 - 14 637 2,733
사업장
일반폐기물(톤)
433 2,396 52 23,604 26,484 436 2,052 278 23,180 25,946
건설폐기물(톤) - - 232 - 232 - - 138 - 138
합계(톤) 2,742 2,396 330 24,140 29,609 2,519 2,052 429 23,817 28,817
재활용률 82% 83%
  • *기타 : 중화, 파쇄 등 중간 처분

B03_03. 재생원료 사용 실적 (2024년)

구분 단섬유(SF) 장섬유(FY) 합계
재생원료 사용량(톤) HP-Chip
(GRS 인증)
84 474 558
Ecoever-LM
(GRS 인증)
380 - 380
PPS 4 - 4
합계 468 474 941
재생원료 사용
제품생산량(톤)
HP-Chip
(GRS 인증)
111 457 568
Ecoever-LM
(GRS 인증)
723 - 723
PPS 127 - 127
합계 961 457 1,418
  • *HP : Hybrid Polymerization, GRS: Global Recycled Standard, LM: Low Melting, PPS: Poly Phenylene Sulfid
B04. 재활용

B04_01. 재활용 Process

  • 분류, 기록
    • 발생 Waste 분류(폴리머별, 색상별 등)
    • 분류별 발생량 일보 기록
  • 수거, 계량
    • 분류 Waste 수집
    • 수집 Waste 계량
    • 지정 장소 이동
  • 재활용
    • 지정 장소 이동
    • 재활용 업체로 처분

B04_02. 재활용 실적

구분 2021 2022 2023 2024
Waste(폐플라스틱) 재활용 실적(톤) 8,302 6,519 6,912 6,449
B05. 폐수 및 용수

B05_01. 사업장별 용수 계획 및 실적 (2024년)

사업장 공업용수(톤) 생활용수(톤) 지하수(톤) 재사용수(톤) 사용량계(톤)
1공장 계획 2,100,000 12,000 105,000 540,000 2,965,000
실적 1,996,700 109,460 94,400 546,650 2,747,210
2공장 계획 644,329 46,000 15,000 150,000 911,000
실적 716,230 45,900 13,750 161,440 865,419
합계 계획 2,800,000 166,000 120,000 690,000 3,776,000
실적 2,641,029 155,360 108,150 708,090 3,612,629

B05_02. 공급원에 따른 용수 사용량

연도 공업용수(톤) 생활용수(톤) 지하수(톤) 재사용수(톤) 용수계(톤) 재이용률 용수 증감률
2024 2,641,029 155,360 108,150 708,090 3,612,629 20% -5%
2023 2,649,140 136,390 56,580 959,190 3,801,300 25% -12%
2022 3,134,970 129,620 90,430 969,430 4,324,450 22% -1%
2021 3,040,316 131,050 121,580 1,067,180 4,360,126 24% 18%
B06. 오염물질

B06_01. 대기오염물질 관리 기준

오염물질 종류 배출허용 기준(ppm) 자체관리 기준 비고
질소화합물(NOx) 개소별 상이 배출허용 기준
80% 이내
총량 규제 중
황산화물(SOx) 개소별 상이 총량 규제 중
먼지(mg/m3) 개소별 상이 총량 규제 중
브롬화합물 3
일산화탄소 -
암모니아 30
아연 4
구리 4
총탄화수소 200

B06_02.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구분 2022 2023 2024 2029
계획(kg) 실적(kg) 계획(kg) 실적(kg) 계획(kg) 실적(kg) 계획(kg)
질소화합물(NOx) 184,236 101,814 159,786 93,978 147,439 114,110 78,462
황산화물(SOx) 188,689 140,966 134,803 145,423 70,601 175,807 147,804
먼지(mg/m3) 5,489 5,366 4,324 4,993 2,856 5,356 3,240
합계 378,414 248,146 298,913 244,394 220,896 295,273 229,506
결과 준수 준수 준수
  • ※ 2029년 계획 : 2차 계획기간(25~29년) 배출허용총량 할당 계획 준용(2024년 실적 대비 평균 30% 감축)
  • ※ 감축방안 : 대기방지시설 신설투자 및 방지시설 최적화 가동

B06_03. 수질오염물질 관리 기준

오염물질 종류 배출허용 기준(mg/L) 자체관리 기준(mg/L) 비고
BOD 200 100 50%
TOC 115 60 52%
SS 200 100 50%
T-N 60 45 75%
T-P 8 5 63%

B06_04. 수질오염물질 배출량

구분 2023 실적(톤) 2024 실적(톤) 2029 계획(톤)
BOD 5.25 8.63 8.20
TOC 8.75 8.96 8.51
SS 11.05 15.1 14.35
T-N 2.02 1.23 1.17
T-P 12.34 18.18 17.27
합계 34.41 52.1 49.5
  • ※ 2029년 계획 : 매년 1%씩 배출량을 감소시켜 2024년 대비 5% 감축 목표 설정
  • ※ 감축방안 : 폐수배출시설 오염물질 감소 및 폐수처리장 처리 효율 증가
B07. 화학물질

B07_01. 화학물질 배출량

구분 2022 실적(kg) 2023 실적(kg) 2024 실적(kg) 2029 계획(kg)
다이클로로메탄 22,447.8 15,486 10,838 10,296
수산화나트륨 - - - -
알류미늄 및 그 화합물 - - - -
염화수소 94.9 92.7 91.7 87.1
m-페닐렌디아민 5.9 20 25 24
안티몬 및 그 화합물 0.4 0.3 0.2 0.2
합계 22,549 15,600 10,955 10,407
  • ※ 2029년 계획 : 매년 1%씩 배출량을 감소시켜 2024년 대비 5% 감축 목표 설정
  • ※ 감축방안 : mA 공정 최적화 및 재사용을 통한 다이클로로메탄 배출량 감소

B07_02. 유해화학물질 사용량

제품명 함량(%) 물질명 2022 실적(톤) 2023 실적(톤) 2024 실적(톤) 2029 계획(톤)
DMAc 100 N,N-다이메틸아세트아마이드 340 240 128 122
Hydrogen Chloride 35 염화수소; 염산 493 244 126 120
Sodium Hydroxide 50 수산화나트륨; 가성소다; 양잿물 420 288 157 149
Sodium Hydroxide 50 수산화나트륨; 가성소다; 양잿물 114 124 95 90
m-페닐렌 다이아민 100 m-페닐렌디아민 368 347 301 286
디클로로메탄 100 다이클로로메탄 49 32 21 20
합계 1,784 1,275 828 787
  • ※ 2029년 계획 : 매년 1%씩 배출량을 감소시켜 2024년 대비 5% 감축 목표 설정
  • ※ 감축방안 : 연수실 R/O 설비 최적화 운전 및 비유해화학물질 대체품 적용
B08. 환경법규
구분 2022 2023 2024
법규위반 현황 없음 없음 없음
재발방지 대책 - - -
B09. 친환경

B09_01. 친환경 구매 실적 현황

구분 2022 2023 2024
구매량(톤) 구매금액(억원) 구매량(톤) 구매금액(억원) 구매량(톤) 구매금액(억원)
친환경 구매 1,504 31 807 19 1,123 18
전체 구매 462,651 4,460 403,663 4,479 375,211 4,138
친환경 비중 0.33% 0.70% 0.20% 0.43% 0.30% 0.43%

※ 친환경 구매 기준

  • 1. 제조 과정에서 유해한 화학물질이 사용되지 않는 제품 (Biomass)
  • 2. 자원선순환으로 기계적/화학적 리사이클 제품 (Bottle Flake, GRS Chip)

B09_02. 친환경 제품 판매 현황

구분 2022 2023 2024
판매량(톤) 매출액(억원) 판매량(톤) 매출액(억원) 판매량(톤) 매출액(억원)
친환경 매출 19,204 513 22,494 574 22,906 578
전체 매출 348,940 8,293 337,754 7,139 324,427 7,230
친환경 비중 5.5% 6.2% 6.7% 8.0% 7.1% 8.0%

※ 친환경 제품 기준

  • 1. 제조 과정에서 유해한 화학물질이 사용되지 않았거나 기존 제품 대비 저감된 제품 (Biomass, 항균 섬유, Recycle 섬유 등)
  • 2. 제품 상태에서의 유해한 화학물질을 함유하지 않거나 기존 제품 대비 저감된 제품 (Filtration용 H/Bico, Yarn, 마스크용 Fiber & 부직포, 생분해 섬유 등)
  • 3. 친환경 관련 인증을 획득한 제품 (ECOPET, Animal Protection 등)

B09_03. 친환경 인증

No 인증서명 인증기관 인증서 보기
1 ISO 14001 LRQA
2 환경표지 인증서(EL243) 한국환경산업기술원
3 환경표지 인증서(EL314) 한국환경산업기술원
4 OEKO-TEX STANDARD 100 OEKO-TEX
5 EcoVadis EcoVadis
6 GRS SCOPE CERTIFICATE Control Union
7 Certificate of Vegan 한국비건인증원

C. 사회 (C)

C01. 인력

C01_01. 인력 현황

구분 성별 2023 2024
총인력 643 620
90 84
733 704
임원 10 10
0 0
10 10
경영
일반직
부장-차장 88 95
과장-주임 94 81
소계 182 176
부장-차장 6 7
과장-주임 11 9
소계 17 16
199 192
생산직 404 375
39 38
443 413
사무직/연구기술 5 4
30 28
35 32
계약직 42 55
4 3
46 58
  • ※ CEO제외, 12/31 기준

C01_02. 인력 구성의 다양성

구분 2023 2024
장애인 고용현황 경영일반직 2 1
사무직 2 3
생산직 9 8
소계 13 12
외국인 고용현황 0 0
합계 13 12

C01_03. 여성/장애인 비율 및 중장기 목표

구분 2024 비율 2030 목표
여성 관리자 비율 2.3% 3.0%
여성 임직원 비율 11.9% 15.0%
장애인 임직원 비율 1.7% 3.0%
  • ※ 관리자 기준 : 경영일반직에 속한 자

C01_04. 자발적 이직률

구분 2023 2024
자발적 이직인원 65 38
자발적 이직률(연말 인원대비) 8.9% 5.4%
  • ※ 자발적 이직자 : 조직의 의사와 관계없이 개인의 판단 하에 조직을 떠난 자
C02. 인재육성

C02_01. 인재육성 전략 및 교육체계도

구분 집합교육 개별교육
직책 계층 직무공통 학위과정 자기주도 경영일반 외
임원 임원
과정
신임
임원


























R
&
D






E
M
B
A
E-IDP 조찬
&
포럼
SERI
CEO


·










·




·
E
S
G



팀장 팀장
과정
신임
팀장
계층간
·
조직간
Workshop
승진자
과정
IDP
·
교육
플랫폼
(동영상)
SERI
PRO
부/차장 파트장
과정
M
B
A

·

과장
대리
주임 신입입문
&
실무과정
사무직 사무직 역량강화
생산직 생산직 역량강화 생산직무

C02_02. 인재육성 로드맵

구분 프로그램 주요 내용
자기주도 학습 IDP 직무수행에 요구되는 역량 향상을 위해 필요한 외부 교육 참여 기회 적극 지원
북러닝 독서를 통해 축적된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임직원 개인 및 조직역량 강화 목표 / 독서동아리 적극지원
리더십교육 신임임원/팀장과정 임원/팀장으로의 역할변화를 인식하고 리더에게 필요한 리더십 역량 함양을 목표
승진자 교육 직급 변화에 따른 역할인식과 연계 역량 의 전문성 강화를 위하여 시행
계층별 교육 해당 직급에 필요로 하는 공통 역량의 향상을 목표
직무교육 직무역량 강화 직군/직무별 Needs에 적극 대응하여 과정 개설
어학교육 지원 구성원들의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역량 강화를 위해 주재원&해외Biz Project Pool / 일반구성원 등 대상에 맞는 교육과정 제공 및 자기개발비 지원
핵심인재 육성 학위공모 제도 사내공모로 선발된 임직원들이 국내외 학교에서 직무역량 / 경영리더십을 개발할 수 있는 교육 기회 제공
온보딩 신입사원 교육 휴비스 핵심가치 / 공정 / 제품 등의 이해와 비즈니스 기본 역량 개발을 목표로 시행
경력사원 교육 휴비스에 대한 이해 및 Soft-landing을 지원하여 조기전력화가 될 수 있도록 지원
윤리경영 윤리 교육 전사원 대상 부패방지, 공정거래 등 윤리의식 함량을 목표

C02_03.교육 실적 현황 (2024년)

구분 프로그램 주요 내용
실시 일정 시간 인원(명) 장소
직책/직위 승진자 교육 3/8 5hr 25 대전 강의장
신입사원 멘토링 6/28 4hr 14 전주 강의장
신입사원 입문과정 5/13 6hr 4 서울 본사
계층별 교육 (임원, C레벨 이상) 9/20 4hr 6 서울 강의장
의무

법정의무교육

(성희롱예방, 장애인 인식개선, 안전교육)

6/10~21 3hr 251 온라인

필수교육

(직장내 괴롭힘 방지, 공정사회와 인권, 정보보안, AEO교육)

11/18~11/28

4hr 244 온라인
C03. 사회안전보건

C03_01. 산업재해율, 산업재해 건수

구분 분류 2022 2023 2024
휴비스 재해자 수(명) 5 4 2
산업재해율(%) 0.69 0.65 0.36
도수율(LTIFR) 2.36 2.23 1.22
협력업체 재해자 수(명) 4 3 4
산업재해율(%) 0.40 0.33 0.45
도수율(LTIFR) 1.37 1.15 1.53
  • ※ 2019년도부터 500인 이상 사업장은 원·하청 산업재해 통합관리 대상임

C03_02. 산업안전보건 교육체계

분류 임원 팀장 파트장/과, 차, 부장 주임, 대리 S/J 사원
정기안전보건 교육 근로자 교육 실시 및 실시 여부 확인 - - - 산업안전보건교육 (매분기 6시간 이상)
관리감독자 교육 관리감독자(팀장~조장) 교육 (연간 16시간 이상)
채용시 교육 신규 채용 발생 시 안전보건교육 (8시간 이상)
작업내용 변경시 교육 부서 이동 또는 작업내용 변경 시 안전보건교육 (2시간 이상)
특별안전 교육 대상작업 작업자 특별안전교육 (대상작업별 16시간 이상)

C03_03. 안전보건 관련 위험요소 관리

C03_03_01.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항목 목표 추진방법 성과지표
안전보건 목표 및 경영방침 수립 최고경영자의 안전보건 의지 표출 전년도 안전보건 실적에 따른 차기년도 목표 설정 1회/년
안전보건이행상태 점검 안전보건 의무이행사항 점검 및 개선 안전보건이행상태 점검 및 결과 CEO 보고

1회/반기 종합점수 77점 이상

안전보건 의무사항 CEO 정기보고

안전보건 의무이행사항 Monitoring

의무이행사항 점검 및 결과 CEO 보고 1회/월
중대재해처벌법 변화 대응

25년 중대재해 로드맵 변화

대응 및 법적 Risk 감소
중대재해 감축 세부지침 및 관계법령 개정에 따른 대응방안 수립 및 실행 법규 미준수사항 0건
법규, 규정, 절차 세부업무기준 개선 법의 현실성을 반영한 업무기준 개정 및 현장 적용 법적 요구사항 업무기준 반영 및 규정, 절차 이행 지속적 Monitoring 10건 이상/년
환경안전마스터플랜 L/H/C 법규 변화 대응 및 위험요소 관리강화 안전보건관련 투자예산 계획 및 실적 Tracking 관리 가용예산 100% 투자
추진실적 80% 이상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 세부 추진사항 지속 추진

법규 변화 대응 및 위험요소 관리강화

중대재해 모의훈련, SHE 수준진단, SHE 스태프 워크샵 등 중대재해예방을 위한 활동 진행

발생시
C03_03_02. 현장중심 안전관리체계 전환 L/H/C
항목 목표 추진방법 성과지표

공정위험성평가(HAZOP)
작업위험성평가(JSA)

수준향상 (Level-up)
잠재위험요소 발굴 및 개선 정기 : 1회/년 위험성평가 실시, 고위험성 위험요인 개선 실시 및 Tracking 관리 (1Q)

수시 : 3회/월 이상 위험성평가 실시, 고위험성 위험요인 개선 실시 및 Tracking 관리

JSA 위험성평가 누락된 잠재위험, 사각지대 위험요소 찾기 및 반영

위험성평가 현장지도 : 안전팀+관리감독자+협력업체
개선계획 실행률 90%이상
위험성평가 참여 100%
C03_03_03. 잠재적 위험요소 및 작업환경 개선
항목 목표 추진방법 성과지표
잠재적 위험요소 개선 잠재위험요소 개선 환경안전마스터플랜 투자실적 Tracking 관리, 관공서 점검, SHE 수준진단, 방호장치 개선 등 추진실적 95% 이상
C03_03_04. 협력업체 안전관리
항목 목표 추진방법 성과지표
협력업체 협의체 운영 안전보건 법규, 사고사례 공유 사내, 공사협력업체 협의회 개최

사내협력업체 12회

공사협력업체 12회
협력업체 안전관리 업무기준 보완 규정 강화로 안전보건관리 준수, 미준수에 대한 Penalty 강화 법, 이해관계자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업무기준 제.개정 1건/년 이상
상생협력사업 추진

협력업체 안전보건관리 수준향상

협력업체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및 위험성평가 실시에 점검 및 지원

자체 평가기준 의거 80점 이상

화기위험작업 안전규정 Manual 준수 안전관찰 공사협력업체 안전보건관리 수준 향상 휴비스 화기위험작업 안전규정 Manual에 의거 공사 관리감독 철저여부 안전관찰 지적사항 4건/월 이하
협력업체 반기평가

안전보건관리 적격 수급업체 선정

평가기준 변경 및 22년부터 반기평가 실시

2회/년
안전혁신학교 대여, 안전교육강사 지원 협력업체 안전보건관리 의식수준 향상 사내, 공사협력업체 자체 안전교육을 위한 교육장 지원, 사내, 공사협력업체 요청시 안전팀 안전교육 강사 지원 협력업체 요청시
C03_03_05. 안전보건교육
항목 목표 추진방법 성과지표
법정 안전보건교육(정기안전보건교육, 관리감독자교육, 신규채용자교육, 작업 내용 변경시 교육, 특별안전교육, 법정선임자 교육 등) 안전의식함양 팀/파트별 계획에 의거 자체적으로 실시 법정 교육주기 및 시간에 맞춰 실시
C03_03_06. 안전관찰 및 점검
항목 목표 추진방법 성과지표
일상점검, 작업전 안전점검 위험요인발굴 및 작업환경 개선 Check List에 의한 점검 패널티 1건 이하/월
노사 합동안전보건점검 위험요인발굴 및 작업환경 개선 노사 합동점검팀 구성 실시 1회/반기 이상
협력업체 합동안전보건점검 위험요인발굴 및 작업환경 개선 합동점검팀 구성 실시 1회/분기 이상
C03_03_07. 안전보건활동
항목 목표 추진방법 성과지표
안전보건강조기간 운영/행사 자발적인 안전보건관리 유도

무재해 달성부서 포상,

환경안전우수사원/우수협력업체 포상
1회/년
공장 환경안전의 날 운영 공장 환경안전실천사항 및 잠재위험요인발굴 및 개선 각 팀 자체 환경안전의 날 운영, 공장 환경안전관찰 실시 등 1회/월
환경안전의 날 안전캠페인 안전보건 홍보 및 안전의식 향상

플랜카드 홍보 및 안전보건 관련 홍보물 배포, 노사협력사 합동 캠페인 실시

1회/분기
C03_03_08. 위험요소개선활동
항목 목표 추진방법 성과지표
아차사고발굴 잠재위험요소 발굴 및 개선 아차사고 사내게시판 개시 및 공유 1건/월,파트 이상
C03_03_09. 안전보건관리
항목 목표 추진방법 성과지표
공정안전보고서 이행(PSM) PSM 준수 및 등급유지 관리 : 법규 준수 및 기타 공정자료 Update
자체감사 : 심사팀 구성 및 각 팀 점검
이행상태점검 : 고용노동부 점검대응

1회/년
지적사항 12건 이하

KOSHA-MS 내부, 연장심사 KOSHA-MS 인증기준 준수 및 인증유지 내부심사 : 심사팀 구성 각 팀별 점검
연장심사 : 안전보건공단 점검대응
부적합, 관찰사항 5건 이하
환경안전 MBO 파트평가 환경, 안전, 소방 법규준수도 및 관리상태 점검 파트단위 환경안전관리 평가 1회/분기
안전집중근무 제도 운영 안전보건 업무 집중으로 유해위험요인 발굴 및 개선 13:00~14:00까지 안전보건 관련 업무 실시 10건/월 이상
SLC 정기회의 각 팀 안전보건 개선실적 공유 안전관찰 실적, 각 팀별 주요 안전환경 개선실적 보고 1회/월
비상대응훈련 비상사태 발생시 대응능력 향상 화재, 폭발, 누출, 자연재해 및 질식재해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비상대응훈련 실시 2회/년
밀폐공간 비상대응훈련 밀폐공간 안전작업절차 업무기준(밀폐공간작업프로그램) 이행 2회/년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근로자 재해예방 목적 노사동수로 위원회를 구성하고 분기별 회의와 개선, 회의록 작성 및 공지 등 1회/분기
사고조사위원회 재해발생 원인 및 대책 수립 발생시 사고조사위원회 구성하여 원인분석 및 재발 방지대책 수립 발생시 4건 이하/년
공정사고 및 설비 관리 공정사고 발생 ZERO
설비고장건수 감축
공정사고/설비고장 발생시 원인 파악 및 발생원인 제거 발생시 4건 이하/년
GHS/MSDS 관리(화학물질) MSDS 관리 수준향상 MSDS 확보 및 비치, 취급요령 숙지, 보호구 착용, 경고표지 부착여부 점검 현장점검시
지적사항 1건 이하 /분기
건강검진(유소견자관리) 근로자 건강증진 일반건강진단, 특수건강진단 실시 수검율 100%
작업환경측정 작업환경 개선 야간작업, 소음, 화학물질 노출 작업환경측정 및 노출기준 초과개소 작업환경 개선 허용 노출기준 초과 1건 이하/년
화학물질 위험성평가 화학물질 노출에 따른 작업환경 개선 작업환경측정 결과에 대한 위험성평가 실시 및 작업환경 개선 2회/년
청력보존프로그램 소음노출에 따른 작업환경 개선 작업환경측정, 특수건강검진 결과에 따른 소음 공정 근로자 교육 및 작업환경 개선 1회/년
예방접종 독감, 간염 등 유행병 예방 보건기관에 의뢰하여 예방접종 실시 1회/년
C03_03_10. 소방, 위험물, 고압가스 안전관리
항목 목표 추진방법 성과지표
소방계획서 작성 소방안전관리기준 정립 및 관리능력 향상 전주공장 소방계획서 작성 및 소방서 제출 1회/년
자위, 합동소방훈련 비상사태 발생시 대응능력 향상 소방대 편성 임무 및 행동요령 숙지, 소방서 합동훈련 실시 2회/년
소화기/소화전 등 소방시설 유지관리 및 점검 소화시설 보존 자체점검, 점검업체를 통한 소방시설 유지관리 법정 주기에 맞춰 진행
위험물 예방규정 작성 위험물안전관리기준 정립 및 관리능력 향상 전주공장 위험물예방규정 작성
(중대한 변경 인허가 건이 있는 경우 소방서 제출)

위험물 변경인허가

발생시
위험물, 고압가스시설 안전점검 위험물, 고압가스시설 정상운전 위험물, 고압가스시설 정상 운전을 위한 자체점검 실시 1회/월 이상
C03_03_11. 법정안전검사
항목 목표 추진방법 성과지표
유해위험기계기구검사 유해위험기계기구 정상운전 유효기간 만료일 이전 검사 실시(외부위탁) 각 1회/2년(법적 준수)
위험물시설 정기점검 위험물시설 정상운전 위험물 안전관리자와 합동으로 점검 실시 각 1회/년(법적 준수)
고압가스시설 정기검사 고압가스시설 정상운전 한국가스안전공사 의뢰하여 정기안전검사 실시 2회/년(법적 준수)
C03_03_12. 안전관리 전문인력 양성
항목 목표 추진방법 성과지표
안전/소방/위험물/고압가스 법정선임 전문인력 양성 법정선임자 관리 및 예비인원 확보 법정선임 필요 부서 자체 자격증 취득 독려 또는 유 자격자 신입사원 채용 2명/년 자격증취득
PSM 자체감사원
KOSHA 내부심사원 양성
내실있는 내부심사를 진행하기 위한 자체 점검인력 양성 외부 교육기관 전문교육 수료 4명/년 교육수료

C03_04. 협력사 근로자 의견 청취 채널을
통해 처리된 의견 비율

연도 안건 개선완료 개선검토 처리의견 비율 성과지표
2024 15 15 0 100% 1. 고소작업용 난간대 휴비스 자체설치 장기 투자계획 수립 후 개선
2. 아차사고 개선사례 공유 시 협력업체 개선사례도 공유
3. 화재, 폭발위험 공정에 대해 공장 전체 비상대응체계 공유
4. 밀폐공간작업 가스농도 측정자 교육 안내
2023 12 11 1 91.7% 1. 보행자 안전지침 제정 및 시행
2. 중대재해 사이렌 등 사고 사례 및 예방대책에 관한 리플렛 공유
3. 50인 미만 사업장 중대재해처벌법 관련 설명회, 교육 안내
4. 일반검진, 특수검진 비교 및 실시 기준에 대한 자료 작성 및 공유
2022 13 11 2 84.6% 1. JSA 위험성평가 교육 및 교육자료 공유
2. 위험경고카드 부착활동 협력사 확대 실시 및 포상 진행
3. 전동차 작업구역 센서 설치
4. 119 안전체험 등 행사활동 협력업체 사원도 포함하여 진행
C04. 인권경영

C04_01. 인권 관련 위험 활동

No 주요 인권이슈 확인 및 개선조치 효과성 평가*
1 아동노동 및 강제노동
  • 아동노동 및 강제노동 등 현대판 노예제 근절, 건전한 근로환경 조성을 위한 인권 정책 제정

100점

(발생건수 0건)

2 직장내 괴롭힘
  • 직장내 괴롭힘 금지 및 예방에 대한 공지 및 교육 진행, 신고 채널 운영
    (사내포털/홈페이지(윤리경영-제보하기))

100점

(발생건수 0건, 작년 100점)

3 성희롱 예방
  • 전체 임직원 대상 성희롱 예방 및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진행(매년)
  • 신고 채널 운영 (사내포털/홈페이지(윤리경영-제보하기))

100점

(발생건수 0건)

4 중대재해 및 산업 안전 보건
  • 전사 안전보건 전담조직 구성 운영
  • 환경안전 마스터플랜 수립 및 실행(22년~26년)
  • 경영책임자(CEO)의 안전보건 이행실적 점검(매월)
  • 현장중심 안전보건관리를 위해 위험성평가 등 9대 핵심과제에 대한 각 팀별 연간 안전보건관리계획 수립 및 실행 실적 관리
  • 위험성 평가의 실행력 강화를 위한 Safety Contact 제도를 활용한 TBM(Tool Box Meeting) 활동

100점

(발생건수 0건)

  • * 효과성 평가 - 발생건수 0건 : 100점, 발생건수 1 ~ 2건 : 50점, 발생건수 3건 이상 : 0점

C04_02. 인권 이슈 관련 제보하기 처리 현황
(2024년)

접수된 의견 건수 처리 건수 처리 비율(%)
0 0 -
C05. 공정거래

C05_01. 불공정거래 위험 관리 활동

No 주요 인권이슈 확인 및 개선조치 효과성 평가*
1 불공정거래 정책 관련
구성원 인식 수준 확대
  • 공정거래 교육(윤리 교육) 실시

100점

(불공정거래 발생건수 0건)

2 불공정 거래 행위
사전 예방 활동
  • 불공정거래에 대한 감시 메커니즘 마련
    - 익명으로 신고할 수 있는 채널 운영 중
    (사내포탈/홈페이지(윤리경영-제보하기))
  • 협력사로부터 행동강령 동의서 및 의견 청취를 통한 사전 예방 활동 실시
  • * 효과성 평가 - 발생건수 0건 : 100점, 발생건수 1 ~ 2건 : 50점, 발생건수 3건 이상 : 0점
C06. 지역사회

C06_01. 지역사회 위험요소 관리 활동

No 주요 이슈 내용 확인 및 개선조치 효과성 평가*
1 공장 주변 환경 오염 이슈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오염물질, 대기 배출물 등이 지역 환경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 최소화
  • 환경 관리 체계 수립 및 운영
  • 매월 전주공장 환경 안전의 날 행사 실시
  • 폐기물 처리, 대기 및 수질 관리, 에너지 효율화 등의 활동 실시

100점

(공장주변 환경오염 이슈 0건)

2 공장 주변 안전 문제 발성 가능성 안전 문제에 대한 부주의, 사고 또는 재해 발생으로 인해 지역 주민들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 최소화
  • 협력업체와의 안전보건 공생협력(협의회, 교육 지원, 실적 평가 등)
  • 사원 개인에 대한 관리자 정기 안전면담 실시
  • 아차사고 사례 발굴 및 개선을 통한 안전사고 예방

100점

(공장주변 안전문제 이슈 0건)

3 공장운영으로 인한 지역주민 불편함 사전 예방 안공장 운영으로 인한 소음, 냄새, 교통량 등으로 인한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에 악영향을 사전 예방을 위해 지역주민과의 지속적 의견 청취 필요
  • 주민자치위원회(팔복동)에 참석하여 지역사회와의 적극적인 소통과 협력 추구

100점

(지역주민 불편사항 접수건수 0건)

  • * 효과성 평가 - 발생건수 0건 : 100점, 발생건수 1 ~ 2건 : 50점, 발생건수 3건 이상 : 0점
C07. 사회공헌

C07_01. 사회공헌 활동(2024년)

구분 지원 활동 지원 대상 지원 대상 시행 시기
장학지원 도서/물품 지원
  • 전북지역 4개 초등학교
  • 도서/물품/시설, 환경 개선 지원
    (40,000천원)
5월
장학금 지원
  • 전주시 불우/모범/보호관찰대상
  • 전주 지방 검찰청 법사랑회
    (10,000천원)
11월
생활지원 결식아동 식사 지원
  • 전주공장 인근 3개 초등학교 저소득층 가정
  • 여름, 겨울방학 기간 1일 1식 지원
    (40,000천원)
7월, 12월
저소득층 도서 및 식사 지원
  • 전주시 선정 저소득층, 소외 계층
  • 지혜의 반찬(도서), 엄마의 밥상(식사) (전주시청 기부)
    (20,000천원)
4월, 11월
연탄기부/ 배달
  • 빈곤층, 저소득층, 독거노인가정

    (서울, 전주, 대전)

  • 연탄 구입 기부 및 배달 봉사활동
    (10,000천원)
11월
화재 안심 기금
  • 전북지역 주거시설 화재 피해 대상 취약 계층
  • 화재 피해 주택 수리/생활비 지원 (전라북도 소방본부 주관 기부)
    (5,000천원)
4월
주거 환경 개선
  • 전주시 팔복동 거주 취약 계층

    (전주공장 인근)

  • 노후된 벽지 및 장판 교체 지원

    (팔복동 주민센터 기부)
    (5,000천원)

4월
제품기부 유니폼 지원
  • 전북지역 초,중등 축구부 1개 학교 선정
  • 당사 제품 연계한 유니폼 기부

    (하계 및 동계)
    (8,000천원)

8월
침장류 지원
  • 전북지역내 8개 초등학교 대상 각 10가정
  • 전북지역 내 저소득층 20가정
  • 본사 자원봉사활동 단체

    (수서명화사회복지관)

  • 당사 제품 활용 이불 세트
    (14,000천원)
1월, 2월, 9월
친환경 사회공헌 활동 자연사랑 파란마음 그림축제
  • 전국 유치원생과 초등학생 대상
  • 휴비스와 삼양사, 삼양화성, 수당재단이 함께하는 환경 그림축제
  • 1996년 이후 매년 휴비스 전주공장에서 진행
  • 아이들에게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알리고, 친환경을 주제로 그림 그리기, 환경보호 체험하기 등 환경 친화적인 다양한 행사 진행
4월

D. 지배구조 (G)

G01. 이사회

G01_01. 이사회 구성

구분 김석현 윤석환 김한조
직책 사내이사, 대표이사 기타비상무이사 기타비상무이사
재직기간 2024.03.26. ~ 현재 2024.03.26. ~ 현재 2023.03.29. ~ 현재
임기 3년 3년 3년
전문성 기업경영 기업경영 기업경영, ESG
주요경력
  • 전남대 경제학과, 고려대 MBA
  • 휴비스 대표이사(現)
  • 휴비스 인력개발본부장(VP)
  • 휴비스 전략팀장(VP)
  • 서울대 국제경제학(학사)
    University of Virginia Darden school MBA
  • 삼양홀딩스 미래전략실장(現)
  • 삼양홀딩스 미래전략실장 겸 Global 성장PU장
  • 삼양패키징 CFO
  • 일진전기 경영지원실장
  • 웅진그룹 기획조정실장
  • 서울대 경제학(학사)
    서울대 행정대학원 석사과정 수료
  • SK디스커버리 기업문화실장(現)
  • SK가스 기업문화실장(現)
  • SK디스커버리 경영지원실장 겸 ESG 담당
  • SK가스 ESG 담당임원
구분 강영철 김태홍 옥동석
직책 사외이사, 이사회의장, 내부거래위원장 사외이사 사외이사, 감사위원장,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장
재직기간 2020.03.23. ~ 현재 2025.03.25. ~ 현재 2023.03.29. ~ 현재
임기 6년(중임) 3년 3년
전문성 기업경영 재무, 금융 재무, 대학교수(무역)
주요경력
  • 서울대 경제학(학사)
    미국 피츠버그대학 경영학(석∙박사)
  • KDI 국제정책대학원 초빙교수(現)
  • 대웅 사외이사
  • 대웅제약 고문
  • 국무조정실 규제조정실장
  • 풀무원홀딩스 전략경영원장(사장)
  • 풀무원홀딩스 Pulmuone USA 사장
  • 풀무원 글로벌사업담당 사장
  • 서강대 경영학(학사)
  • 하나카드㈜ CFO겸 경영전략본부장(상무)
  • 하나카드㈜ 감사부장, 마케팅 부장
  • ㈜한국외환은행 카드재무지원부장, 카드운영센터장, 카드영업지원부장
  • 서울대 경제학(학사, 석∙박사)
  • 열린사회포럼 이사장(現)
  • 인천대학교 무역학부 명예교수(現)
  • 기획재정부 경제규제혁신 TF 민간위원(現)
  • 기획재정부 재정정책 자문회의 민간위원(現)
  •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원장
  •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원장
  • 인천대학교 무역학부 교수

G01_02. 사외이사 전문성

구분 김석현 윤석환 김한조 강영철 김태홍 옥동석
경영 및 리스크 관리
재무/금융/회계
핵심 산업 및 사업
법률/정책
ESG
구분 담당자 선임 배경 감사위원회 내부거래
위원회
사외이사후보
추천위원회
사내
이사
김석현
(대표이사)
  • 1994년 ㈜선경합섬으로 입사하여 30여년간 근무한 회사와 회사가 영위하는 화학섬유산업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보유
  • 회사 및 핵심산업에 관한 풍부한 식견과 경험, 통찰력을 보유하여 기업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 내부 구성원들의 단합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리더십의 적임자에 해당
- - -
비상무
이사
윤석환
  • 삼양홀딩스, 삼양패키징 등 삼양그룹내 여러 회사의 경영현황에 정통한 경영전문가로서, 보유한 경험과 전문지식으로 이사회의 전략적 의사결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재무적인 관점에서의 합리적 조언 및 경영 제분야에서 적절한 방안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
- - -
김한조
  • SK디스커버리, SK가스 등 SK그룹내에서 경영 제반에 대한 폭넓은 경험 보유
  • 특히, ESG경영에대한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회사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의사결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 재무분야뿐만 아니라 기획업무에 있어서 높은 식견을 보유, 사업전략 수립에 실질적인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 -
사외
이사
강영철
(이사회의장)
  • 오랜기간 기업의 경영 최전선에서 얻은 경험과 노하우, 전문지식으로 회사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전문적 의견 제시 가능
  • 회사와의 거래, 겸직 등에 따른 특별한 이해관계가 없어 전문성과 독립성을 바탕으로 대주주 및 다른 이사로부터 독자적으로 견제, 감시감독 역할을 수행 가능
위원장
김태홍
  • 재무, 감사, 마케팅 등 경영전반 다양한 부서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경쟁력 있는 회사 경영을 위한 방향과 조언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
  • 상법상의 회계∙재무 전문가 요건을 충족 (금융기관 등 경력자 유형)
  • 대주주 및 회사와 이해관계가 없는 독립적인 주체로서 객관적인 위치에서 기업 투명성을 제고를 위해 노력할 것으로 기대
옥동석
  • 30년 이상 인천대학교 무역학부 교수로서 재직하여 해당 분야 관련 지식이 풍부하고 동시에 여러 정부 유관 기관에서의 다양한 경험을 보유
  • 재무·회계·무역·경제 관련 제 분야에 대한 높은 식견을 바탕으로 의사결정판단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
  • 회사와의 거래, 겸직 등에 따른 특별한 이해관계가 없어 전문성과 독립성을 바탕으로 대주주 및 다른 이사로부터 독자적으로 견제, 감시감독 역할을 수행 가능
위원장 위원장
G02. 모범규준과의 비교
구분 채택 여부 비고
기업지배구조헌장 도입
임직원 윤리규범 제정 -
집중투표제 × -
전자투표제 -
서면투표제 × -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 -
대표이사와 이사회 의장의 분리 사외이사가 이사회 의장
이사의 손해배상 책임보험 가입 -
감사위원 전원 사외이사 여부 -
이사회 및 이사회 내 위원회 운영규정 제정 -
이사회 및 이사회 내 위원회 활동내역 공시 -
모범규준과의 차이 설명 -